티스토리 뷰
목차
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 조건 및 사용법, 금액 실사용 후기까지 총정리!
무더운 여름, 그리고 곧 다가올 겨울까지,,한정된 생활비로 냉·난방 걱정되시죠?
저도 마찬가지였는데요, 올해 처음으로 에너지바우처 신청을 해보면서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2025년 에너지바우처 신청 조건부터 실제 사용 방법까지 정리해봤어요.
실제 경험을 토대로 풀어쓴 글이라, 처음 신청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에너지바우처, 누가 받을 수 있을까?
무조건 '저소득층'이면 되는 줄 알았는데, 실제로는 두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하더라고요.
- 소득 조건
- 세대 특성 조건
저는 생계급여 대상자이면서 장애인이라 신청이 가능했는데요, 동 주민센터에서 간단한 확인만 거치면 금방 확인할 수 있어요.
📌 단, 세대 전원이 보장시설에 거주 중인 경우엔 지원이 불가하니 꼭 체크하세요.
2. 얼마를 지원받을 수 있나요?
지원 금액은 세대 인원수에 따라 조금씩 달라요. 평균적으로는 약 36만 7천 원이 지원된다고 들었어요.
- 하절기(여름): 약 5만 3천 원
- 동절기(겨울): 약 31만 4천 원
저는 1인 가구라 이보다 조금 적은 금액을 받았지만,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자동으로 차감되는 걸 보면서 확실히 실감이 나더라고요.
3. 어떤 방식으로 바우처를 쓰게 되나요?
제가 전기만 사용하는 가구라서 그런지, 별도의 카드 없이 자동 차감 방식으로 바로 적용됐습니다.
하지만 다른 연료를 쓰는 분들은 아래처럼 방식이 달라질 수 있어요.
에너지 유형 | 바우처 방식 |
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 요금 고지서 자동 차감 |
연탄/등유/LPG | 선불카드(실물/가상) 사용 |
※ 선불카드는 지정된 판매처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니, 사용 전에 꼭 확인하세요.
그리고 중요한 건, 남은 금액이 이월되지 않는다는 점!
지원받았으면 정해진 기간 안에 다 사용하셔야 합니다.
4.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은 2025년 6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가능합니다.
저는 직접 동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했는데, 신분증이랑 수급자 증명서만 준비하면 금방 끝나요. 10분도 안 걸렸어요!
만약 방문이 어려운 분은 온라인 신청도 가능한데요.
- 대리 신청도 가능하니, 어르신이나 장애가 있으신 분은 가족이 위임장 들고 대신 신청해도 돼요.
5. 에너지바우처, 저처럼 꼭 챙겨보세요
사실 처음엔 귀찮아서 안 하려다가, 주변 추천으로 신청하게 됐는데요.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자동으로 빠지는 걸 보니, 정말 알차게 도움이 되었어요.
혹시나 조건이 애매하더라도 주민센터에 문의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생각보다 간단하게 확인됩니다.